DevOps/AWS

DevOps/AWS

[AWS] 인스턴스 생성

회원가입을 한 후에 EC2 메뉴에 들어간다.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OS로 무엇을 고를까 고민을 많이 했다. 특히 AMI 와 Ubuntu 중에 고민을 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리눅스라고 해서 2. 전에 작업했던 서버가 우분투 기반이어서 (살짝 익숙) 이번엔 아마존 리눅스를 써보고 싶은 생각에 고른 것도 있다. 서버 단에 아직 완전히 딥한 이해는 없어 완벽하게는 모르겠지만 아마존 리눅스는 레드햇이 개발하는 상업용 리눅스 배포판인 RHEL의 소스를 가져다 쓴 CentOS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aws 서비스 관련된 툴이 잘 되어있다고 하고 나는 프리티어만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아마존 리눅스를 선택했다. 프리티어 인스턴스 유형 선택한 다음 키 페어를 생성해준다. 다시 발급..

DevOps/AWS

[AWS] AWS S3 프리티어 생성

가난한 학도로써 프리티어 이외의 요금은 언제나 두렵다.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Q: AWS 프리 티어란 무엇입니까? AWS 프리 티어는 고객에게 서비스별로 지정된 한도 내에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살펴보고 사용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리 티어는 12개월 프리 티어, 상 aws.amazon.com 이 url에서 보니 S3는 1년 한정 5GB 무료다. 유의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과금되기 싫은 사람들은 1년 지나면 꼭 해지할 것) S3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 것일까?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주로 파일 서버로 사용된다. 확장성 파일 서버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인프라 및 용량 계획을 변경해야 하는데 S3가 확장 및 성능 부분을 ..

DevOps/AWS

[AWS] AWS Budget 예산 제한 설정하기

기존에 프로젝트할 때 aws budget 설정 제대로 안해놨다가 돈쭐난 적이 있다. 이번에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예산 제한을 미리 걸어두려 한다. 예산 제한은 결제를 못하게 막아버리는 기능이 아닌(자기들도 먹고 살아야 겠죠) 일정 금액이 넘으면 알림이 오는 기능이다. 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훨씬 나으니 요금 폭탄 맞지말고 반드시 설정해주도록 하자. 먼저 프로필을 눌러주고 결제 대시보드를 누른다. 왼쪽 메뉴에서 Budgets 메뉴를 눌러주고 예산 생성 버튼을 누른다. 말도 안되게 편해진 설정이다. 프리티어만 먹튀하려는 사용자가 많아지니 제로 지출 예산이라는게 따로 생겼나보다. 위 설정에서 유의할 점은 이메일 수신자(4번 항목)에 꼭 이메일을 기입하길 바란다. 프리티어 외에 과금을 실수로 했을 시 메..

레이튼
'DevOps/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