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DevOps/Docker

[Jenkins] Error: Unable to access jarfile step 'Execute shell' marked build as failure 해결 완료

결론부터.chmod +x mvnw ./mvnw -DskipTests packagejava -jar java -jar 하기 전에 mvnw에게 JAR 파일을 생성하게 해야 한다. 제목에서의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jar파일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보통 순서가 안 맞아 떨어지는 것 같다. chmod +x mvnw: Maven Wrapper(mvnw)에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mvnw -DskipTests package: mvnw를 사용해 Maven 빌드를 실행한다. ./mvnw : 현재 디렉토리의 mvnw를 실행한다. Maven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스크립트이다. -DskipTests : Maven 빌드할 때 테스트를 건너뛰게 한다. 테스트 코드가 없을 때 빌드를 단축시키기에 좋다.package : ..

DevOps/Docker

[Docker] Windows Hypervisor is not present 해결 완료 (feat. LENOVO)

문제 상황 실습을 위해 docker desktop을 로컬에 깔아서 실행을 하니까 저런 문구가 떴다. 구글링 한 결과와 나의 해결에 대해 정리해본다. 해결 방법 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2가지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 한다. 1.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에서 Hyper-V를 사용으로 저장해준다. 2. 컴퓨터 자체의 BIOS 설정에서 가상화 사용 설정을 해준다. 먼저 1번부터 가보자. 1.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에서 Hyper-V를 사용으로 저장해준다. 검색해주고 이렇게 3가지가 잘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안되어있다면 체크 후 저장. 2번 조건을 만족하기 전에는 Hyper-V에 V표시가 아니라 ㅁ표시까지만 될 것이다. 2. 컴퓨터 자체의 BIOS 설정에서 가상화 사용 설정을 해준다...

DevOps/Linux

[DevOps Roadmap] Oracle Cloud 인스턴스의 루트 볼륨 증설 (물리, 논리)

내 멋대로 데브옵스 로드맵 1탄 기록이다. 그냥 내가 공부하는 족족 기록해볼 예정이다. 참고로 나는 AWS를 쓰지 않는다. (못한다) 가난하다. 프리티어 인스턴스 계속 살려두자니 너무 불안하다. Oracle Cloud는 평생 무료다. 모두 Oracle Cloud를 사용하자. (대머리 조심) 최근 회사에서 리눅스를 쓸 일이 많았다. 서버 쪽도 관리를 해서 그래야 한다. 리눅스 햇병아리는 실전에서 실수해 데이터를 다 날려먹지 않기 위해 별도로 공부를 하기로 한다. 오라클 클라우드의 인스턴스는 알아서 만들었다는 가정 하에 작성하겠다. (내 공부 기록용이기 때문. 어쩌라고.) 1. 문제 상황 일단 내가 느꼈던 문제 상황이다. 아니 난 분명히 200GB 짜리 부트 볼륨을 인스턴스에 할당을 했는데 루트 디렉토리가 ..

DevOps/Trouble Shooting

[DevOps] Docker 루트 디렉토리 변경(초간단)

1. 작업 계기회사에서 한 시스템 운영 인수인계를 받던 중 자동 배치를 돌고있던 젠킨스에 오류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원인을 찾아보니 리눅스에 도커가 올라가있는 디렉토리가 log full 차서 일어난 현상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근본적인 문제점/의문점 2가지가 있다.첫번째, 젠킨스 설정에서 오래된 빌드 삭제가 설정이 안되어 있었다.먼저 이 부분을 설정해주었다. 두번째가 치명적이다.도커의 루트 디렉토리가 리눅스의 루트 폴더에 마운트가 되어있던 것이다.내가 이해한 바로는 해당 폴더는 윈도우의 C드라이브 같은 것이다.OS에 관련된 시스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증량이 안된다.다른 리눅스 디렉토리는 각각이 용량을 할당받고 증량해 확장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공간 분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도커의..

DevOps/AWS

[AWS] 인스턴스 생성

회원가입을 한 후에 EC2 메뉴에 들어간다. 인스턴스 시작을 누른다. OS로 무엇을 고를까 고민을 많이 했다. 특히 AMI 와 Ubuntu 중에 고민을 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리눅스라고 해서 2. 전에 작업했던 서버가 우분투 기반이어서 (살짝 익숙) 이번엔 아마존 리눅스를 써보고 싶은 생각에 고른 것도 있다. 서버 단에 아직 완전히 딥한 이해는 없어 완벽하게는 모르겠지만 아마존 리눅스는 레드햇이 개발하는 상업용 리눅스 배포판인 RHEL의 소스를 가져다 쓴 CentOS와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그리고 aws 서비스 관련된 툴이 잘 되어있다고 하고 나는 프리티어만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아마존 리눅스를 선택했다. 프리티어 인스턴스 유형 선택한 다음 키 페어를 생성해준다. 다시 발급..

DevOps/AWS

[AWS] AWS S3 프리티어 생성

가난한 학도로써 프리티어 이외의 요금은 언제나 두렵다. 무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AWS 프리 티어 Q: AWS 프리 티어란 무엇입니까? AWS 프리 티어는 고객에게 서비스별로 지정된 한도 내에서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살펴보고 사용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리 티어는 12개월 프리 티어, 상 aws.amazon.com 이 url에서 보니 S3는 1년 한정 5GB 무료다. 유의해서 사용하도록 하자. (과금되기 싫은 사람들은 1년 지나면 꼭 해지할 것) S3란 무엇이며 왜 사용하는 것일까?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주로 파일 서버로 사용된다. 확장성 파일 서버는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서버 인프라 및 용량 계획을 변경해야 하는데 S3가 확장 및 성능 부분을 ..

DevOps/AWS

[AWS] AWS Budget 예산 제한 설정하기

기존에 프로젝트할 때 aws budget 설정 제대로 안해놨다가 돈쭐난 적이 있다. 이번에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예산 제한을 미리 걸어두려 한다. 예산 제한은 결제를 못하게 막아버리는 기능이 아닌(자기들도 먹고 살아야 겠죠) 일정 금액이 넘으면 알림이 오는 기능이다. 그래도 없는 것 보다는 훨씬 나으니 요금 폭탄 맞지말고 반드시 설정해주도록 하자. 먼저 프로필을 눌러주고 결제 대시보드를 누른다. 왼쪽 메뉴에서 Budgets 메뉴를 눌러주고 예산 생성 버튼을 누른다. 말도 안되게 편해진 설정이다. 프리티어만 먹튀하려는 사용자가 많아지니 제로 지출 예산이라는게 따로 생겼나보다. 위 설정에서 유의할 점은 이메일 수신자(4번 항목)에 꼭 이메일을 기입하길 바란다. 프리티어 외에 과금을 실수로 했을 시 메..

레이튼
'DevOps' 카테고리의 글 목록